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지식총서 01

사회적경제 전망과 가능성

서명/저자사항
사회적경제 전망과 가능성/ 심상달 [외] 지음
단체저자
MYSC
발행사항
서울 : 에딧더월드, 2015.
형태사항
230 p. : 삽화 ; 23 cm.
ISBN
9791185059341 (set) 9791185059358
주기사항
공동기획: SK사회적기업가센터, MYSC 공저자: 강민정, 라준영, 양동수, 양용희, 이원재 참고문헌: p. 225-23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자료실EM049649대출중2025.06.26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EM04964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5.06.26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사회적 혁신기업가의 경영이슈와 자질, 사회적 경제 전반에 관한 탐색이
이 분야의 파이오니어들에 의해 논의되고 탐색된 이 총서가 인류가 당면한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에 더 많은 사람들, 특히 가치 중심의 삶을 살고자 하는 젊은이들의 관심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 SK사회적기업가 센터장 이병태 -

사회 적 기업가정신에서부터 임팩트투자까지
그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사회적 경제 입문서


21세기 자본주의 위기에 대안으로 떠오른 사회적 경제의 바탕이 되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에서부터 돈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임팩트투자까지 그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사회적 경제 입문서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지식총서 - 1차시리즈

01 사회적경제 전망과 가능성
02 소셜이슈 분석과 기회탐색 I
03 소셜이슈 분석과 기회탐색 II
04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접근법 Design Thinking

이 책 『사회적경제 전망과 가능성』이 필요한 사람들

사회적 기업가를 지망하는 학생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가
학생들을 가르치거나 사회적 기업가를 육성하는 교수진과 연구자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공무원과 관련 기관 종사자
사회적 경제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

『사회적경제 전망과 가능성』은?

2011년 세계적인 금융위기 이후 기존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지식총서 시리즈로 집필된 본 도서는, 사회적 경제의 전망과 가능성을 탐색하고 독자들이 사회적 경제의 변화와 그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회적 기업가정신, 사회적 기업의 역사, 법 제도, 사회적 가치 측정 그리고 임팩트 투자까지 사회적 경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주제를 소개하고 있다.

[출판사 서평]

신자유주의의 대안, 사회적 경제
2011년 금융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의 대안으로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타인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또는 방치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내거나 발 벗고 나서는 사람들을 '사회적 기업가'라고 하며 이들을 돕거나 사회와 공유하는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을 '착한 기업'이라 한다. 사회적 기업가들과 착한 기업들이 주체가 되어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경제 체제를 '공동체 자본주의'라고, 최근에는 '자본주의 4.0'이라고도 하며 이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바로 '사회적 기업가 정신'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사회적 경제와 주체들을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의 내용
이 책의 1장에선 사회적 기업가 정신, 사회적 기업가의 역할과 성공한 사회적 기업가의 특징이 열거된다. 2장에선 기업들이 CSR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비즈니스로 사회 혁신을 일으키는 현상을 서술한다. 3장에선 사회적 가치측정의 기본원리와 관련 동향을 소개하고 4장에선 사회적 기업과 관련된 법제도 현황과 딜레마를 드러내며 미래를 전망한다. 5장에선 사회적 기업의 역사와 전개 과정을, 6장에선 자본주의의 붕괴와 사회적 경제가 그 대안으로 부상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마지막으로 7장에선 사회적 기업보다 혁신적인 사회적 벤처에 대한 투자인 임팩트 투자를 소개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의 확장과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경제가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각광받으며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 내기에는 아직 경험과 정보가 충분치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이 향후 많은 이들이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사회적 경제에 대해 탐구하고 공공, 민간, 기업을 아울러 대한민국 곳곳에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 그리고 실제적인 행동들이 일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사회적 경제의 확장과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목차

들어가는 글

제1장 사회적 기업가 정신 |심상달, KDI대학원 초빙교수|
1. 사회적 기업가 정신 등장의 배경
2. 사회적 기업가
3. 사회적 기업가 정신 활성화의 핵심
부록. 사회적 기업 재원 재단 : 아쇼카

제2장 비즈니스와 사회혁신|강민정, SK사회적기업가센터 부센터장|
1. 비즈니스와 사회혁신
2. 비즈니스의 새로운 역할과 기회 : 비즈니스와 소셜 임팩트
3. 대기업-사회적 기업의 협력

제3장 사회적 기업 생태계와 사회적 가치 측정|라준영, 카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1. 시장의 선택 압력과 사회적 가치 측정
2. 외부성과 시장실패 : 사회적 가치 측정의 이론적 배경
3. 사회적 가치 측정 도구
4. SROI(Social Return on Investment)
5. SROI의 측정 및 활용
6. 사회적 가치 측정의 실천과 제도화

제4장 제4장 사회적 기업과 법 그리고 제도|양동수, 재단법인 동천 상임변호사|
1. '사회적' 기업이 처한 법제도적 딜레마
2. 사회적 기업을 위한 법제도 현황
3. 사회적 기업 관련 법제도 발전방향에 대한 전망

제5장 사회적 기업의 역사와 전개 과정|양용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1. 사회적 기업의 역사적 배경
2. 사회적 기업의 개념
3. 한국의 사회적 기업

제6장 사회적 경제와 사회혁신|이원재, 희망제작소 소장|
1. 위기에 빠진 자본주의
2. 사회적 경제의 부상
3. 새로운 경제의 출현

제7장 사회적 벤처와 임팩트 투자|강민정, SK사회적기업가센터 부센터장|
1. 사회적 벤처와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
2. 임팩트 투자의 형성과 현황
3. 임팩트 투자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