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Health Status and Integrated Care for Elderly People: Focused on Healthcare
- 서명/저자사항
-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서제희, 정연, 이용주, 김창오, 김광준, 김소윤, 석희태, 홍성민, 왕승혜, 장민선, 카와쿠보히로시, 송은솔, 차미란, 배정은, 이동현, 백상숙, 양지현, 이지연, 백승주
- 대등서명
- Health Status and Integrated Care for Elderly People: Focused on Healthcare
- 개인저자
- 김남순 [외]저 | 김광준 | 김소윤 | 김창오 | 박은자 | 배정은 | 백상숙 | 백승주 | 서제희 | 석희태 | 송은솔 | 양지현 | 왕승혜 | 이동현 | 이용주 | 이지연 | 장민선 | 전진아 | 정연 | 차미란 | 카와쿠보히로시 | 홍성민
- 발행사항
-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 형태사항
- 503p. : 삽도 ; 24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17-37-01 협동연구 17-01
- ISBN
- 9788968274978
- URL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EM04825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EM048258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825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EM04825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부: 연구 개요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9
제2절 연구 내용과 추진 체계 24
제2부: 지역사회 노인 친화적 보건의료 및 복지 서비스 제공 방안
제1장 서론 29
제1절 연구 배경 31
제2절 연구 내용 32
제2장 노인건강에 대한 관점과 지역사회 보건복지 서비스 33
제1절 노인건강을 바라보는 관점 35
제2절 외국의 지역사회 노인 보건복지 서비스 46
제3절 국내 지역사회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81
제3장 노인 질병 현황 105
제1절 노인 질병 현황 분석 방법 107
제2절 50세 이상 연령별 다빈도 질환 분석 결과 109
제3절 주요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 질병의 유병률 변화 분석 결과 121
제4절 소결 135
제4장 지역사회 노인의 노쇠 및 의료 돌봄 서비스 이용 현황 137
제1절 개요 139
제2절 건강 및 노쇠 155
제3절 의료 이용 179
제4절 돌봄 서비스 186
제5절 소결 205
제5장 소결 211
제1절 요약 213
제2절 정책 방향 215
제3부: 급성기 의료기관 중심 노인 친화적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방안
제1장 서론 21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2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23
제2장 국외 노인 친화적 의료 서비스 고찰 227
제1절 캐나다 229
제2절 일본 234
제3절 소결 245
제3장 급성기 의료기관 노인 고관절 골절 환자 시범 사업 251
제1절 서론 253
제2절 시범 사업 계획 263
제3절 시범 사업 결과 266
제4절 소결 270
제4장 노인 진료 제공 체계 모형 277
제1절 모형 관련자 질적 면담 조사 279
제2절 모형의 개발 301
제3절 모형의 특성 및 활용 방안 310
제4절 소결 311
제5장 결론 315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317
제2절 제언 327
제4부: 보건의료 복지 서비스 통합을 위한 법제도 개선
제1장 서론 331
제1절 고령화의 현주소 333
제2절 법 원리로서의 사회 연대 334
제2장 연구 목적 등 337
제1절 연구 목적 339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341
제3장 우리나라 법제 분석 345
제1절 헌법상의 노인건강권 347
제2절 의료보장법제 체계 357
제3절 노인복지법제 체계 365
제4장 영국과 일본의 법제 비교 분석 369
제1절 개관 371
제2절 영국 372
제3절 일본 393
제5장 소결 및 입법적 제언 423
제1절 소결 425
제2절 입법적 제언 431
제5부: 제언
제1장 진단과 과제 437
제1절 진단 439
제2절 핵심 제언과 과제 450
참고문헌 455
부 록 477
부록1 설문조사지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