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214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5214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 약 i
제1장 서 론 (김영아)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건강불평등의 정의 2
제3절 연구의 구성 3
제2장 노동 특성과 건강불평등 : 현황 및 변화추이 (김영아) 4
제1절 서 론 4
제2절 선행연구 6
제3절 고용 형태와 건강 격차 9
제4절 근로환경과 건강 격차 21
제5절 직업력과 건강 격차 35
제6절 소 결 39
제3장 노동시장 경력과 개인의 건강궤적 : 건강 수준과 건강 행태 변화 (김영아) 48
제1절 서 론 48
제2절 선행연구 49
제3절 연구방법 51
제4절 분석 결과 : 건강 수준 궤적 59
제5절 분석 결과 : 건강 행태 궤적 65
제6절 소 결 79
제4장 노동시장 진입 시점 경기침체와 건강 (곽은혜) 84
제1절 서 론 84
제2절 분석 모형 88
제3절 분석 표본 및 변수 89
제4절 육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95
제5절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102
제6절 건강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107
제7절 결과 해석 및 결론 114
제5장 결 론 (김영아) 121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요약 121
제2절 정책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126
참고문헌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