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퍼포먼스 : 인정받는 직장인을 위한 체계적 성과관리 방법론
- 서명/저자사항
- 퍼포먼스 : 인정받는 직장인을 위한 체계적 성과관리 방법론 / 최영훈 지음
- 발행사항
- 화성 : 플랜비디자인 , 2019
- 형태사항
- 247 p. : 삽화 ; 23 cm
- ISBN
- 9791189580162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5139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M0513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인정받는 직장인은 무엇이 다를까?
조직이 나를 인정해주길 기다리는 것이 아닌,
'인정할만한 가치와 성과를 만드는 핵심 방법을 찾는 인재'를 위한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은 회사에서 인정받는 인재, 회사의 성장에 기여하는 인재가 되고싶은 분들에게 스스로 성과의 원동력을 찾아내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쓰여졌습니다.
2017년도에 HR 담당자 분들을 위한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을 출판하였습니다. 정말 많은 HR 담당자 분들이 그 책을 통해 조직의 성과관리체계를 갖추는데 도움을 받으셨다고 말씀해주셔서 깊은 감사의 마음을 갖고 있는데요. 그분들께서 요청하시길, 그 책에서 소개하는 성과관리의 방법을 HR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일반 직장인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서 책을 만든다면 우리 회사의 직원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체계적으로 자신의 성과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강력하게 이 책의 집필을 권해주셨습니다 .
이 책은 그래서 탄생하게 되었구요. 그 분들의 요청 대로 HR 담당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흐름과 용어로 각색하여 쓰여졌다는 것 외에도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에서는 담지 않았던) 독자들이 자신의 성과목표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개인의 성과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KPI' 및 'KPI 체크리스트', '성과행동 체크리스트' 그리고 '직무기술서' 와 같은 각종 성과관리 도구를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상세한 프로세스 가이드가 제공되었다는 점을 개인적으로 가장 보람되게 생각합니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이 직원들을 세세하게 감독하고 책임을 묻는 관리 중심의 성과관리 시대는 갔습니다. 성과관리의 핵심은 '관리와 통제'에서 '자율과 학습 그리고 성장'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직원과 관리자가 함께 고민하여 더 좋은 성과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고 바람직한 행동의 습관을 스스로 관리하며 남들의 성과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직원이 인정받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성과관리 습관을 만들어 회사에서도 삶에서도 성취하고 만족하고 인정받는 삶을 사는 우리 모두가 되길 바랍니다.
조직에서 인정받는 사람, 그 사람은 어떻게 조직에서 인정받게 되었을까?
성과목표를 달성하려면 성과목표를 분석하라!
회사의 KPI를 도출하기 전, 직원들이 반드시 봐야할 책!
내 주변에서, 내가 일 하는 조직에서 가장 인정받는 사람을 떠올려보세요.
우리는 인정받는 사람을 쉽게 생각해내지만, 이들이 무엇을 통해 인정받게 되었는지 그 핵심 방법에는 제대로 대답하기가 어렵습니다.
인정받는 직장인이 되고 싶은 분, 최고의 성과를 내고 싶은 분들을 위해 HR분야 베스트셀러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의 저자 최영훈 대표가 현업 리더와 실무자들을 위해 성과를 통해 인정받는 직장인들의 노하우를 연구한 결과물을 공개 합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점차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평가방식이 전환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성공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HR에서 평가 제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제도와 함께 조직에 있는 개개인들이 <퍼포먼스>에서 얘기하는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성취 계획 (Performance Achievement Plan)을 명확하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책은 성과관리 패러다임 변환을 앞당기는데 기여하는 최고의 책이 될 것입니다.
조직이 나를 인정해주길 기다리는 것이 아닌,
'인정할만한 가치와 성과를 만드는 핵심 방법을 찾는 인재'를 위한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은 회사에서 인정받는 인재, 회사의 성장에 기여하는 인재가 되고싶은 분들에게 스스로 성과의 원동력을 찾아내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쓰여졌습니다.
2017년도에 HR 담당자 분들을 위한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을 출판하였습니다. 정말 많은 HR 담당자 분들이 그 책을 통해 조직의 성과관리체계를 갖추는데 도움을 받으셨다고 말씀해주셔서 깊은 감사의 마음을 갖고 있는데요. 그분들께서 요청하시길, 그 책에서 소개하는 성과관리의 방법을 HR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일반 직장인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서 책을 만든다면 우리 회사의 직원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체계적으로 자신의 성과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강력하게 이 책의 집필을 권해주셨습니다 .
이 책은 그래서 탄생하게 되었구요. 그 분들의 요청 대로 HR 담당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흐름과 용어로 각색하여 쓰여졌다는 것 외에도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에서는 담지 않았던) 독자들이 자신의 성과목표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개인의 성과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KPI' 및 'KPI 체크리스트', '성과행동 체크리스트' 그리고 '직무기술서' 와 같은 각종 성과관리 도구를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상세한 프로세스 가이드가 제공되었다는 점을 개인적으로 가장 보람되게 생각합니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이 직원들을 세세하게 감독하고 책임을 묻는 관리 중심의 성과관리 시대는 갔습니다. 성과관리의 핵심은 '관리와 통제'에서 '자율과 학습 그리고 성장'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직원과 관리자가 함께 고민하여 더 좋은 성과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고 바람직한 행동의 습관을 스스로 관리하며 남들의 성과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직원이 인정받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성과관리 습관을 만들어 회사에서도 삶에서도 성취하고 만족하고 인정받는 삶을 사는 우리 모두가 되길 바랍니다.
조직에서 인정받는 사람, 그 사람은 어떻게 조직에서 인정받게 되었을까?
성과목표를 달성하려면 성과목표를 분석하라!
회사의 KPI를 도출하기 전, 직원들이 반드시 봐야할 책!
내 주변에서, 내가 일 하는 조직에서 가장 인정받는 사람을 떠올려보세요.
우리는 인정받는 사람을 쉽게 생각해내지만, 이들이 무엇을 통해 인정받게 되었는지 그 핵심 방법에는 제대로 대답하기가 어렵습니다.
인정받는 직장인이 되고 싶은 분, 최고의 성과를 내고 싶은 분들을 위해 HR분야 베스트셀러 <체계적 직무분석 방법론>의 저자 최영훈 대표가 현업 리더와 실무자들을 위해 성과를 통해 인정받는 직장인들의 노하우를 연구한 결과물을 공개 합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점차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평가방식이 전환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성공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HR에서 평가 제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제도와 함께 조직에 있는 개개인들이 <퍼포먼스>에서 얘기하는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성취 계획 (Performance Achievement Plan)을 명확하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책은 성과관리 패러다임 변환을 앞당기는데 기여하는 최고의 책이 될 것입니다.
목차
0 성과를 향상시키는 전략적 접근방법, 성과목표 분석
1 성과목표 분석이란?
2 성과목표 분석의 흐름 정리
3 올바른 성과목표 분석을 위한 출발점
1 명확한 성과목표 설정학
1 나의 역할 찾기
2 조직에서 기대하는 역할 내의 성과목표 설정하기
2 구체적 성과행동 실행하기
1 성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SF) 찾기
2 CSF 확보를 위한 성과행동 찾기
3 실행과정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1 성공적 성과행동 실행을 위한 직무 역량 도출하기
2 KPI를 통한 실행과정의 구체적 모니터링하기
4 성과목표분석 따라하기
Step 1 개인업무 역할(미션) 명확화
Step 2 개인 성과목표 설정
Step 3 CSF 도출
Step 4 성과행동 도출
Step 5 개인 직무역량 도출
Step 6 개인 KPI 도출 및 KPI 체크리스트 제작
Step 7 성과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5 성과목표분석 결과 업무에 활용하기
1 성과행동 체크리스트의 활용
2 KPI 체크리스트의 활용
3 직무기술서의 일반적 활용
4 관리자의 부하직원 및 팀 성과지원에서의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