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18-49

생애주기별 학대 경험 연구 : 아동기 학대·폭력의 중복적 경험과 정책적 대응

Understanding experiences of abuse and violence among children and youths-A life course perspective

서명/저자사항
생애주기별 학대 경험 연구 : 아동기 학대·폭력의 중복적 경험과 정책적 대응 / 류정희, 전진아, 이상정, 이주연, 정익중, 유민상
대등서명
Understanding experiences of abuse and violence among children and youths-A life course perspective
발행사항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형태사항
454p :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8-49
ISBN
9788968275791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49395대출가능-
자료실EM04939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4939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4939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학대·폭력경험 연구’의 2차 연도 연구로서, 우리나라 아동 및 청년이 경험하는 학대·폭력을 포함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던 ‘아동·청년 가족 생애경험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아동(만 9~18세 미만) 및 청년(만 18~29세)이 경험하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데이트폭력, 직장폭력, 군대폭력을 포함하는 성인기 폭력경험의 중복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기를 포함하는 과거의 학대·폭력 등 부정적 생애경험이 현재의 신체 및 심리·정서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아동의 학대경험, 아동의 우울, 문제행동과의 연관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아동기 학대 및 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 개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 론 1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1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25
제3절 조사 방법 28
제2장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61
제1절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정의 63
제2절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대한 조사 69
제3절 조사 방법론의 한계 72
제3장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대한 기초 분석 75
제1절 응답자 특성 77
제2절 학대.폭력 경험률 87
제3절 소결 109
제4장 부모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아동의 문제행동 113
제1절 문제 제기 115
제2절 이론적 논의 119
제3절 분석 방법 141
제4절 분석 결과 149
제5절 소결 173
제5장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신체?정서적 건강 179
제1절 문제 제기 181
제2절 이론적 논의 182
제3절 분석 방법 183
제4절 분석 결과 191
제5절 논의 및 결론 211
제6장 아동의 부정적 생애경험과 아동의 삶의 질 213
제1절 문제 제기 215
제2절 이론적 논의 217
제3절 분석 방법 223
제4절 분석 결과 226
제5절 소결 258
제7장 청년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신체·정서적 건강 261
제1절 문제 제기 263
제2절 이론적 논의 265
제3절 분석 방법 270
제4절 분석 결과 274
제5절 소결 289
제8장 청년의 성인기 부정적 경험과 신체·정서적 건강 295
제1절 문제의 제기 297
제2절 이론적 배경 298
제3절 분석 방법 310
제4절 분석 결과 313
제5절 소결 331
제9장 결론 및 연구 함의 335
제1절 연구 요약 337
제2절 연구 함의 및 정책 제언 349
참고문헌 355
부 록 381
부록 1. 아동기 생애경험 실태조사 표본설계 381
부록 2. 아동기 생애경험 실태조사 조사표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