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KIHASA 발간물연구보고서 2016-35

미시모의실험 기반 중장기 사회재정 영향 평가 모형 개발: 노후 소득 보장 정책을 중심으로

Dynamic micro-simulation Outlook model for Social policy Analysis (DOSA): An Application to Old Age Income Support in Korea

서명/저자사항
미시모의실험 기반 중장기 사회재정 영향 평가 모형 개발: 노후 소득 보장 정책을 중심으로/ 고제이, 권혁진, 신우진, 류재린, 하솔잎, 조남운
대등서명
Dynamic micro-simulation Outlook model for Social policy Analysis (DOSA): An Application to Old Age Income Support in Korea
발행사항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형태사항
242p. : 도표 ; 24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2016-35
ISBN
9788968273964
URL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자료실EM046901대출가능-
자료실EM04690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EM04690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 등록번호
    EM04690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제2장 주요국의 사회재정 영향 평가 모형 구조와 활용 사례 23 제1절 미국: FEM(The Future Elderly Model) 26 제2절 캐나다: POHEM(The Population Health Model) 30 제3절 영국: PSSRU(Dynamic Microsimulation Model) 37 제4절 스웨덴: SESIM(A Swedish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 45 제3장 DOSA의 기본 구조와 특징 55 제1절 기술적 방식에 따른 MSM 모형의 분류와 특징 57 제2절 DOSA의 기술 선택과 구성 67 제3절 베이스 셋(base set)의 구축 72 제4장 인구출산사망가구의 구성 77 제1절 최근의 연구 동향과 방법론적 특징 79 제2절 인구출산사망 83 제3절 가구 구성 89 제5장 교육노동 95 제1절 최근의 연구 동향과 방법론적 특징 97 제2절 교육 100 제3절 노동 111 제6장 자산 129 제1절 방법론적 특징과 시뮬레이션 범위 132 제2절 자산 행태 방정식 추정 137 제3절 유효성검토 153 제4절 자산 시뮬레이션 167 제7장 공적연금 171 제1절 최근의 연구 동향과 방법론적 특징 173 제2절 국민연금 174 제3절 기초연금 191 제8장 조세: 소득세 199 제1절 최근의 연구 동향과 방법론적 특징 201 제2절 소득세 206 제9장 DOSA의 정책 활용도 점검 및 향후 과제 215 참고문헌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