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School social welfare
- 서명/저자사항
-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성민선, 조흥식, 오창순, 홍금자, 김혜래, 홍봉선, 노혜련, 윤찬영, 이용교, 조미숙, 노충래, 정규석, 오승환, 이상균, 김경숙, 김상곤, 진혜경, 윤철수, 최경일, 이태수, 손병덕, 박경현 공저
- 판사항
- 2판
- 대등서명
- School social welfare
- 개인저자
- 김경숙 | 김상곤 | 김혜래 | 노충래 | 노혜련 | 박경현 | 성민선 | 손병덕 | 오승환 | 오창순 | 윤찬영 | 윤철수 | 이상균 | 이용교 | 이태수 | 정규석 | 조미숙 | 조흥식 | 진혜경 | 최경일 | 홍금자 | 홍봉선
- 발행사항
- 서울 : 학지사, 2009
- 형태사항
- 478 p. ; 27 cm
- ISBN
- 9788963301471
- 주기사항
- 참고문헌: p. 469-471, 색인수록
책 소개
학교사회복지는 교육전문가인 교사중심의 학교에 사회복지사가 상주 또는 배치되어 학교구성원들을 지원하는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책은 바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이 공교육의 장에서 궁극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고 학교, 교사,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앞으로 학교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하는 사회복지사들을 위해서는 학교사회복지실천을 위해 잘 알고 있지 않으면 안 될 교육환경과 관련된 여러 측면,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이론과 실제 등 현장 실천가들의 축적된 노하우가 담겨 있다. 초판과 비교하여 책의 구성에 큰 변화는 없으나, 학교사회복지의 경험이 축적된 것을 반영하여 다양한 사례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저자들을 영입하여 기존의 내용을 보다 현실에 맞게 보강하였다.
목차
제 1 부 학교사회복지의 이해
| 제 1 장 |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1. 학교교육과 사회복지
2.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및 원칙
3. 학교사회복지의 대상
4.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 제 2 장 |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발달
1. 1960~1980년대
2. 1990년대
3. 2000년대 이후
4. 한국 학교사회복지 발달의 의의와 전망
| 제 3 장 | 외국의 학교사회복지
1. 각국의 학교사회복지 현황
2. 주요 국가의 학교사회복지
3. 학교사회복지의 국제적 전망
제 2 부 학생과 학교교육 환경
| 제 4 장 | 학생에 대한 이해
1. 청소년의 개념과 학생 수의 추세
2.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
3. 청소년 발달이론
| 제 5 장 | 학교조직에 대한 이해
1. 학교교육의 목적
2. 학교조직의 특성
3. 우리나라의 학교조직
4. 교육자치제와 교육위원회 및 학교운영위원회 ·
5. 학교조직에 대한 체계이론의 적용
| 제 6 장 | 교육 및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과 법
1. 교육정책에 대한 이해
2. 교육정책의 법적 기반
3.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
4. 아동·청소년정책의 법적 기반
5.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6. 결 어
| 제 7 장 | 학생의 인권과 복지를 위한 서비스
1. 교육복지와 학생인권
2. 학생복지서비스의 현황과 실태
3. 학교복지서비스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 도입의 필요성과 그 방향
제 3 부 학교사회복지의 이론
| 제 8 장 | 학교사회복지의 이론적 근거
1. 생태체계적 관점
2. 임파워먼트 관점
3.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이야기 치료를 중심으로)
4. 강점 관점
| 제 9 장 | 학교사회복지의 접근모델
1. 전통적 임상모델
2. 학교변화모델
3. 지역사회 학교모델
4. 사회적 상호작용모델
5. 학교-지역사회-학생관계모델
6. 학교연계 통합서비스
| 제 10 장 | 학교사회복지의 사정 및 개입기술
1. 학교사회복지에서의 사정기술
2. 학교사회복지에서의 개입기술
제 4 부 학교사회복지의 실제
| 제 11 장 | 학교사회복지의 운영모형과 실천전략
1. 학교사회복지의 운영모형
2. 학교사회복지 운영모형별 실천전략
| 제 12 장 | 학교현장에서의 사례관리
1. 학교를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에서 사례관리의 필요성
2. 사례관리 운영체계
3. 사례관리의 과정
| 제 13 장 | 학교사회복지 실천사례
1. 일반학교에서의 학교사회복지실천
2. 특수학교에서의 학교사회복지실천
3. 대안학교에서의 학교사회복지실천
제 5 부 학교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 제 14 장 | 학교사회복지 인력양성
1. 학교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현황
2.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3. 학교사회복지사 양성방안
| 제 15 장 | 학교사회복지제도화의 전망과 과제
1. 학교사회복지제도화 논의의 배경
2. 학교사회복지제도화의 기본 전제 및 의미
3. 학교사회복지제도화 방안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