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일 사회적경제 Mapping
- 서명/저자사항
- 한·중·일 사회적경제 Mapping/ 김의영, 미우라 히로키, 연준한, 윤태희, 이경수, 이상직, 임기홍 편
- 발행사항
- 과천 : 진인진, 2015
- 형태사항
- 335 p. : 도표 ; 23 cm
- 총서사항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세계 속의 아시아연구 시리즈 009
- ISBN
- 9788963472089
- 주기사항
- 권말부록: 한국 관련 통계 등 참고문헌: p. 313-335 2013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3S1A3A2054523)
책 소개
그런데, 사회적 경제가 가지는 의의가 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성과는 당위적 주장이나 모범사례 소개 수준에 그치는 정도일 만큼 척박한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이웃나라인 중국, 일본을 포괄한 경험적 연구사례인 『한·중·일 사회적 경제 Mapping 』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가 펴낸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한·중·일 사회적 경제 Mapping』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이웃나라인 중국과 일본의 사회적 경제 조직의 현황과 제도적 성격 및 발전과정을 광범위한 자료 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비교 연구하여 각국의 특색과 공통점을 추출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세 나라 사회적 경제 비교분석의 기준으로 사회적 경제의 다양성, 혼종성 동태성에 주목하였고, 이 세가지 기준에 착목한 "사회적 경제 조직 지형도"를 작성하였습니다. 한국, 중국, 일본 각 나라들의 사회적 경제를 묘사한 조직지형도가 각각 작성되고, 결론 부분에서는 세 나라 현황을 통합한 조직지형도가 제시됩니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획일적인 개념화와 정태적인 유형화 방식을 지양하고 각국의 사회적 경제 생태계의 동태적인 모습을 분석하였습니다. 『한·중·일 사회적 경제 Mapping』 연구진은 2013년부터 정기적인 워크숖과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대회 및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학술회의와 같은 국내회의와 세계정치학회, 글로벌 사회적 경제 포럼 등 국제회의를 통해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수정·보완해 왔으며, 각국별 원고를 논문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단행본 발행을 계기로 서론과 결론이 최종 작성되었으며, 국가별 관련정보를 부록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한·중·일 사회적 경제 Mapping』은 사회적 경제를 연구하는 사회과학자들은 물론 사회적 경제 분야에 종사하는 활동가 일반에게 유용한 연구서가 될 것 입니다.
목차
제1장 한중일 사회적경제 조직 Map :연구 의의와 방법
Ⅰ. 사회적경제의 개념적 지평 확대
Ⅱ. 한중일 사회적경제 비교연구의 의의와 방향성
Ⅲ. 한중일 사회적경제 비교연구의 방법
제2장 한국 사회적경제 조직 Map
I. 서론
II. 사회적경제 관련 개념
III. 한국 사회적경제 Mapping
IV. 사회적 경제의 발전 과정
V. 결론
제3장 중국 사회적경제 조직 Map
I. 서론
II. 사회적경제와 관련 개념
III. 중국 사회적경제 조직 Map
IV. 사회적경제 등장과 발전과정
V. 결론: 요약 및 향후 과제
제4장 일본 사회적경제 조직 Map
I. 서론
II. 사회적경제 관련 개념과 조직의 범위
III. 일본 사회적경제 조직 Map
IV. 사회적경제 발전의 배경과 맥락
V. 소결
제5장 한중일 사회적경제 조직 Map의 비교와 함의
I. 비교.분석의 방향성
II. 사회적경제의 개념 현황
III. 한중일 사회적경제 조직 Map
IV. 한중일 사회적경제의 제도적 특징
V. 결론
부록
1. 한국 관련 통계
2. 중국 관련 통계
3. 일본 관련 통계
4. 한중일 대표적 사회적경제 조직과 지원·연구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