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M048309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EM0483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 문
제2장 통합사회의 국가 간 비교 및 한국의 위상
1. 사회통합에 대한 기존 이론
2. 통합사회의 개념
3. 데이터 특성 및 측정
4. 통합사회 지수의 구성 체계
5. 지표 내용 설명
가. 개인 보호
나. 공동체 건설
다. 국제사회 기여
6. 통합사회의 국가 간 비교
가. 영역별 분석
나. 변동계수 및 분포 분석
다. OECD와 non-OECD 비교
7. 한국의 통합사회 변화 분석
가. 한국 통합사회 지수 평균 및 변화율 분석
나. 한국 통합사회 지수 수준별 순위 현황 및 그룹핑
8. 소결
제3장 글로벌 시대의 통합사회 핵심가치
1. 통합사회 핵심가치에 대한 이론적 배경
가. 다원화된 사회의 사회통합
나. 다원적 정체성과 통합사회
2. 통합사회의 핵심가치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
가. 자료 및 표본
나. 종속변수: 신뢰, 포용성, 행복
다. 독립변수: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국가주의, 세계시민주의
3. 통합사회의 핵심가치 국가 간 비교 분석 결과
4. 소결
제4장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한국의 정책 분석
1. 이론적 논의
2. 분석 대상 및 방법
3.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적 자본 구축 정책 분석
가. 정책의 편향성: 제도 및 상태 개선 중심의 정책, 의식 전환을 위한 정책의 부족
나. 기업, 시민 대상의 정책 부족: 국가 간 비교를 통한 의식 개선 정책의 중요성
4. 통합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 갈등 해소 정책 분석
가. ‘성장’과 ‘분배’에 대한 이분법적인 사고로 인한 분절적 정책 시행
나. 소통, 다양성, 행복을 추구하는 전 세계적 패러다임에 조응하지 못하는 한계
다. 국제사회에의 기여가 중요, 그러나 한국은 미흡
라. 사회통합위원회의 기존 정책 분석 결과
5. 소결
제5장 결 론
부 록
부표 A. 통합사회 지표의 1990년과 2008년의 상-중-하위권 그룹 비교
부표 B. 통합사회 지표의 1990년과 2008년의 상-중-하위권 국가별 변화
부표 C. 통합사회 지표의 국가별 중분류 지수 수준 및 변화율
부표 D. 통합사회 지표의 국가별 소분류 지표 수준 및 변화율
부표 E. 통합사회 지수 집락분석 결과
부표 F. 한국의 통합사회 발전 순위 변화-아시아 및 중동 국가 포함
부표 G. 국가별 사회통합 요소 표준화 지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