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구조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Living and Brain Death Organ Donation Intention in Nursing Students) | 김은아 | 802-811 | 2015.12.28 | - | |
생활습관중재가 부인암 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on Fatigu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 안현진 | 812-822 | 2015.12.28 | - | |
슬관절 전치환술 후 세라밴드 운동프로그램이 수술 후 통증, 슬관절 굴곡각도 및 심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Effects of a Thera-Band Exercise Program on Pain, Knee Flexion ROM,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 윤지영 | 823-833 | 2015.12.28 | - | |
만성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를 위한 임파워먼트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Development of Empowerment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Evaluation of Impact) | 김미정 | 834-845 | 2015.12.28 | - | |
증상관리를 통한 심부전 환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Symptom Management to Predict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 이자옥 | 846-856 | 2015.12.28 | - | |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한국 생산직 근로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Ecological Correlate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Blue-collar Workers: A Multi-level Study) | 황원주 | 857-867 | 2015.12.28 | - | |
정신건강증진센터에 근무하는 정신보건간호사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The Psychosocial Adaptation Process of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 민소영 | 868-878 | 2015.12.28 | - | |
Culture-Work-Health 모델에 근거한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구조모형 구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lity of Work Life in Clinical Nurses based on the Culture-Work-Health Model) | 김미지 | 879-889 | 2015.12.28 | - | |
만성질환아 아버지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Fa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 김미영 | 890-899 | 2015.12.28 | - | |
기혼직장여성의 가족건강성 구조모형(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Family Strength of Married Working Women) | 홍영선 | 900-909 | 2015.12.2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