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한국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양태의 경험적 검토(The Examination of Construction Status on Multi-pillar System for Old Age Income Security in Korea)

개인저자
한신실
수록페이지
215-237 p.
발행일자
2015.02.28
출판사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내실화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종단적인 차원에서 개인들의 다층체계 구축 양태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다층체계는 분석대상 중 다층보장형(27.7%)과 공적연금중심형(12.8%), 그리고 미준비형(59.6%)으로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둘째, 노동시장지위나 성별, 나이 등 어떠한 요인도 안전한 다층체계 구축을 보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 빈곤 위험집단인 미준비형을 공적연금의 테두리 안으로 포괄할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다층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조건임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heck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in Korea. That iswhy, We analyzed the insured status of people in terms of multi-pillar pensionsystem including National Pension Service, Private Pension, Retirement Pensionover tim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ulti-pillar type’(27.7%),the ‘public pension type’(12.8%) and the ‘insecure type’(59.6%) have been formed. Secondly, any socio-demographic factors like labor market status, gender, age etcetera could not guarantee the pension right for multi-pillar system. As a result,we emphasize that including the ‘insecure type’ into public pension schemes is a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