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for Marriage-based Migrant Women)
- 개인저자
- 신혜정
- 수록페이지
- 5-29 p.
- 발행일자
- 2015.08.28
- 출판사
-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변인들을 개인, 가족, 사회적 지지 요인에 따라메타분석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국내에서 수행된 37편의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연구들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개인, 가족 및 사회적 지지 요인들 간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각 요인들은 모두 ‘중간 효과’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크기의 우선 순위는 결혼만족, 사회적 지지 순으로 ‘큰 효과’ 크기를보였고, 다음으로 생활만족도, 가족 관계·기능,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우울 순으로 ‘큰 효과’에가까운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개인요인에서는 한국어능력, 경제적 어려움, 우울, 자아존중감이, 가족 및 사회적 지지 요인에서는 결혼만족, 부부관계, 사회적 지지요인이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제시되었다.
Using meta-analys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in relation to acculturative stress by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s selected 37 studies between 2000 and 2013.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based migrant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verage effect size in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Second, each variable showed at least‘medium’and above size. Further,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showed‘large effect size’and life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 and functions,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showed ‘near large effect size.’Third, when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conomic difficulty,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individual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in effect size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Meanwhile, marital satisfaction and couple relationship among famili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among social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in effect size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authors suggested ways to prevent or reduce acculturative stress among marriage-based migrant women in Korea.
- 권/호
- 제67권 제3호 2015년 8월
- 발행일
- 2015.08.28
- 구독상태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for Marriage-based Migrant Women)
- 언어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자-제공자교환관계(CMX)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검증(The Effect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member Exchange(CMX) and Job Satisfaction - Multi-group and Latent Means Analysis across Job Position -)
- 동네무질서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Cohe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Community Integration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es)
- 조직신뢰와 오류관리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Error Management Culture across Social Service Agencies)
- 고령사회 대안 패러다임으로써 연령통합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Study on Potentiality of Age Integration a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Aged Society - Focusing on Comparing Perception Regarding Impacts of Age Integration Between Policy Target and Professional -)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기사명 | 저자 | 발행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