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년간 연구경향 특성(Research Trend o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Korea -Using both Network and Content Analysis for the Recent 10 years-)
- 개인저자
- 최재성
- 수록페이지
- 73-94 p.
- 발행일자
- 2016.02.28
- 출판사
-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연구가 어떠한 경향적 특성을 보여왔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연구논문들에 대한 연구경향성분석을 사용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연구경향성분석방법으로 알려진 내용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석방법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모두 취하고 반대로 약점은 상호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분석사례는 한국사회복지행정학 학술지에 게재된 최근 10년간의 논문 221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분석 및 내용분석 결과 사회복지행정학 연구는 크게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조직’의 클러스터로 구분되며, 그 가운데에서도 인적자원과 관련된 연구에 편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천현장 중심의 새로운 주제들도 등장하나, 전통적인 주제들과는 독립적으로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양적연구의 비중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질적연구, 근거 기반 개입연구, 혼합연구방법, 담론적 논의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복지의 사각지대인 농어촌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정보관리, 재무관리, 마케팅, 조직혁신 등의 전통적 복지행정 영역의 주제들도 중요성에 대한 논의에 비해 희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of the studies on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over a recent 10 year period. Employing both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hich are representative statistical strategie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we analyzed 22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rom 2005 to 2014.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wo clusters –“social (welfare) service”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studies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addition, more than 80% of articles are mainly related with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lud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 forth. Second, the newly emerging academic subjects such as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 network appeared to be done independently of traditional subjec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studies being focused on human resources was overwhelmingly high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studies; therefore, there are a few studies using qualitative or mixed method, evidence based practice, and discourse studies. In addition, the studies of the rural areas, which are a blind spot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studies about information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marketing, organization innovation rarely appeared, despite their signific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