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가구단위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Giving Behavior of Households -Effects of Asset, Income, and the Ratio of Income to Asset-)

개인저자
강철희
수록페이지
53-74 p.
발행일자
2016.11.28
출판사
韓國社會福祉學會
초록
본 연구는 가구단위의 경제상황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가구단위 경제상황을 가구의 유형별 소득과 자산, 자산 대비 소득으로 측정한 후 각각의 변수들이 자선적 기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지료 중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조사 자료인 5 ~ 7차년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된 총 4,938가구의 3개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확률효과 패널 토빗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금융자산과 근로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의 규모가 커질수록 기부 금액이 증가하는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대비 소득의 비율은 자선적 기부에 대해 부적인 방향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의 경우, 가구주의 교육수준과 가구크기는 정적인 방향의 관계를 갖고, 연령의 경우 역U자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구 단위의 경제적 요인들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자료를 토대로 검증해 봄으로써 가구단위 기부행동의 이해를 더욱 제고 및 확장시킨다는 점 그리고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가구 단위 개입전략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In this study, to verify influence that economic situations of a household unit have on donation behavior, after economic situations of a household unit were measured with income and assets by type and income to assets, effect which each variable has on secular giving was verified. This study used 3-year panel data of a total of 4,938 households based on the fifth to seventh year data as investigation data from 2012 to 2014 among data of financial panel investigation of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of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As an analysis method, a random effect tobit model was used. At the analysis result, it appeared that as scales of financial assets, earned income, property income, and transfer income become larger, the amount of donation increased. Also, it was represented that rates of income to assets had negative influence on secular giving. In case of demographic variables, education levels of householders and sizes of houses had relation of a positive direction. In case of ages, it appeared that they had inverted U-type relation. This study has meanings in that understanding of donation behavior of a household unit can be increased and expanded more and also implications related to intervention strategies of a household unit to expand sharing culture can be extracted by verifying influence which economic factors of a household unit have on donation behavior based on pane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