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학교의 조직문화와 사업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의 직무만족 매개 효과(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job satisfac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f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Support Project Business School and effectiveness)

개인저자
이미선
수록페이지
1-25 p.
발행일자
2016.11.28
출판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본 연구는 지난 10년 이상 진행되어온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주로 서비스 수혜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서비스 제공자인 학교조직에 대해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육복지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으로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학교조직의 문화에 따라 사업효과가 달라질 것이며 특히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직무만족이 조직문화와 사업효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8개 초등 및 중학교 교사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학교조직문화는 혁신지향문화와 안정지향문화로 측정하였으며 사업효과성은 학생변화와 교육복지사업효과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혁신지향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만족 또한 사업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조직이 안정지향문화일 때 보다 혁신지향 문화일 때 사업효과성 사이에서 교사의 직무만족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참여학교의 조직문화가 혁신지향문화일수록 교사의 직무만족이 더 높으며 교육복지사업의 효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학교의 조직문화를 혁신지향문화로 유도하고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전략들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For last more than 10 years, the most researches about effectiveness of progress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Support Project Business School has been focused on benefit students, has not been interested in School organization which is service provider. This research is start from at this poi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s a caus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welfare service, and than establish a hypothesis that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will depend on the effects of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specially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ho in charge of the service provider will be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business. And operations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hypothesi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261 people Gyeonggi eigh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mos 18.0 statistics program.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was measured by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stability-oriented culture, and project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changes in student education and welfare effects. The result, innovation-oriented culture was found on a static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lso exerts influence on static effect.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teachers were more significant when the culture of innovation-oriented culture, school organization than when the stability-oriented work culture. In conclus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which is participated in school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support projec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more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also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higher education welfare servic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we presented a variety practical strategies that can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the culture of school organization was changed to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