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 조직화(Work Organization of Public Social Workers: Institutional Ethnography)
- 개인저자
- 김인숙
- 수록페이지
- 101-139 p.
- 발행일자
- 2017.02.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이 연구는 복지환경의 변화로 인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일련의 자살 사건으로부터 자극받아, 이들에게서 벌어지고 있는 고군분투의 근원을 제도적 질서 안에서 찾아보고자 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이 제도적 관계 안에서 어떻게 조직화되는지를 묘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현장에 어떤 공공담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은 각종 법적 지침과 양식의 문서 텍스트, 사통망과 같은 전자 텍스트, 평가지표와 같은 평가 텍스트의 작용으로 조직화되고 있었다. 이들의 일 조직화에서 지난 20년간 정부가 추구해온 ‘찾아가는 복지’가 어떻게 찾아가지 못하는 복지라는 역설을 낳고 있는지 엿볼 수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일하는 현장에는 신공공관리주의 담론이 매우 적극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 담론의 작동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마음과 육체는 황폐화되고 있었는데, 이것은 신공공관리주의가 공적복지 영역에서 실패한 한 사례임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stitutional order that lie at the root of suicide of public social workers, on the recent incident in Korea. For this purpose, it was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stitutional ethnography. Institutional ethnography explores the social relations organizing institutions as people participate in them and from their perspectives. It aims to go beyond what people to find out how what they are doing is connected with others’ doing in ways they cannot se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 1) Work of public social workers was socially organized by a series of document texts, electronic texts, and evaluative texts. 2) This work organizations of public social workers disrupted providing proactive services for welfare recipients that has been building public welfare policy strategy during 20 years. This is the paradox of ‘providing proactive services’ strategy. 3) The new public managerialism was working on the field of public welfare settings. This institutional discourse was a main factor affecting disolation of mind and body of public social workers. This was a case of failure of new public managerialism in public welfar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