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Employment status, Job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 개인저자
- 남석인
- 수록페이지
- 77-102 p.
- 발행일자
- 2017.05.28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초록
비정규직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실태파악과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의 고용형태가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여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안정성 강화와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병원에 재직 중이며,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169명을 대상으로, SPSS 매크로 프로세스 2.16.1을 사용하여 병렬다중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용형태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형태가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 중 직무불안정의 특정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하여 직무불안정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이를 경로로 하여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의료사회복지사의 고용형태를 개선하고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pite the social interest in temporary workers, the actual situation of temporary medical social workers has not been properly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edical social worker's employment status on depression mediated by job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propose a plan for strengthening the job security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reducing job stress. The analysis used data from 169 medical social workers in hospitals. The parallel multiple mediator analysis was used with the macro process 2.16.1 for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ployment status does not directly affect depression. However,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of job instability, one of job stress subsets,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path of employment status on depression through job stress. In other words, temporary workers have higher stress on job instability than regular workers, and employment status has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due to job in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a systematic improvement plan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status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reducing job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