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직에서의 질적평가 활용방안: 현상학적 자기평가방법을 중심으로(A Practical Method of Qualitative Evaluation in Social welfare Agency: Focus on the Phenomenological Self Evaluation Methodology) | 최종혁 | 1-28 | 2014.02.28 | - | |
노인요양시설의 사업성취도와 의사소통의 질이기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 검증(Effects of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and Quality of Communication on Attitudes toward Giving Behavior Among Donors Donating to Nursing Homes for Older People: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 김경호, 김영기 | 29-53 | 2014.02.28 | - | |
한국사례관리실천의 딜레마: 상이한 진단과 대안모색(The Dilemma in Korea’s Case Management Practice : Analysis of Different perspectives and an Alternative Solution) | 정연정 | 55-88 | 2014.02.28 | - | |
기관 간 네트워킹과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만족도 관계에 대한다층모형 분석: 경기도의 지역기반 정신보건서비스조직을 중심으로(A study on organizational networking and client satisfaction among mental health organizations using multi-level analysis) | 민소영 | 89-111 | 2014.02.28 | - |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Emotional Labor Experiences of Public Social Workers) | 문현주, 신혜정 | 113-146 | 2014.02.28 | - | |
지역사회복지관 성과관리측정척도 타당도 연구(A study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measuring scale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 지은구, 이원주 | 147-177 | 2014.02.28 | - | |
영리·비영리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차이와 동형화에 대한 연구(A Study on Differences and Institutional Isomophism Between Non-profit and For-profit Nursing Home in Korea) | 양난주 | 179-207 | 2014.02.28 | - | |
복지서비스 지역화를 위한 공동모금제도 개선과제: 정부와 민간의 관계를 중심으로(Reconsidering Federated Funding System in Korea: Private or quasi-governmental action) | 노연희 | 209-239 | 2014.02.2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