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특성화고 출신 고졸 여성의 선취업 후진학 선택에 관한 분석(Analysis of the Decision to Enter Labor Market First and G o to College Later among Female Vocational High School G raduates)
- 개인저자
- 문상균
- 수록페이지
- 79-108 p.
- 발행일자
- 2017.09.30
- 출판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특성화고를 졸업한 후 취업을 선택한 청년여성들의 취업 이후대학진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청년여성의후진학 경로를 추적하기 적합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을 이용하였다. 또한고졸 취업자와 대졸 취업자 간의 임금격차가 후진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함께 이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고졸 취업자의 후진학 경로선택에는 고등학교 시기의 성적과 상용직여부, 4대보험 가입 여부 그리고 취업자가 경험하게 되는 학력 간 임금격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성적이좋을수록 후진학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으며, 상용직이 아니거나 4대보험이보장된 일자리에 종사할수록 이듬해 후진학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아울러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는 취업자가 경험한 학력 간 임금격차가 클수록 후진학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점을 종합하면, 특성화고를 졸업한 고졸 여성 취업자의 후진학 선택은 자신의학업능력과 일자리 상황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대졸자와의 임금격차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있다.
Focusing on women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 this study examines their decision to enter labor market first and go to college later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We use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KEEP) to track their path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and to obtain thei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job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also us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to calculate a wage premium of college graduates across industry compared to those who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 We emplo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or the analysis. We find that a young woman is more likely to choose delayed entry into college if her high school GPA is higher, if current employment status is less stable, if four social insurances are provided at work, and if the relative wage gap by educational attainment is larger. Overall, a decision to enter labor market first and go to college later among women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 is closely related to not only their academic ability and job characteristics, but also to labor market conditions such as wage premium of college graduates experienced at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