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가출 청소년의 반복 가출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repetitive runaway behavior amongst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 개인저자
- 김재엽
- 수록페이지
- 239-263 p.
- 발행일자
- 2018.02.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가출 청소년의 반복 가출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반복 가출의 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임상적,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내(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28개의 청소년 쉼터(일시, 단기, 중장기 시설)를 유의표집 하여 262명의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조사원이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발송을 통하여 수집되었고 이 중 총 22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출 청소년의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 반복 가출, 우울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SPSS 23.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후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반복 가출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지난 1년간 가출 청소년의 66.3%가 부모로부터의 학대를 경험하였다. 세부 학대 유형의 경험률은 정서학대가 64.4%, 신체학대가 50.7%, 방임이 35.7%로 나타났다. 2) 47.3%에 해당하는 가출 청소년이 지난 1년간 3회 이상 반복 가출을 경험하였다. 3)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은 가출 청소년의 반복 가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관계에서 우울은 완전 매개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출 청소년의 가족에 대한 선행적이고 체계적인 개입,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 가출 청소년을 위한 사례관리체계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repetitive runaway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pathology of repetitive runaways. To these ends, using purposive sampling, 262 runaway adolescents from 28 runaway shelters in metropolitan areas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220 data sets were utili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66.3% of runaways had experienced child abuse of one form or another in the past year. Second, 47.3% were repetitive runaways. Third, depression had a full-mediating effect between child abuse and repetitive runaway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systematic family intervention, mental health interventions, and creating a case management system for runaway adolescents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