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남녀 청소년의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adolescent social anxiety: Mediation by self-acceptance)

개인저자
임정하
수록페이지
209-235 p.
발행일자
2017.08.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6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8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여자 청소년들이 남자 청소년들보다 스스로의 행동에 완벽한 기준을 설정하고 엄격한 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수용 및 사회불안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수용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가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보다 관련성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수용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즉 타인이 자신에게 완벽함을 요구한다고 생각할수록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기 어려우며, 이는 청소년의 사회불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자기수용의 매개경로는 다르게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 집단에서는 자기수용이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는 자기수용이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만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녀 청소년들의 사회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mongst adolescents. A total of 38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girls reported higher levels of SOP(self oriented perfectionism) than adolescent boys. The levels of SPP(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acceptance and social anxie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gender. Second, there was a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P and social anxie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PP and social anxiety was fully mediated by self-acceptance in both adolescent boys and girls,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SOP and social anxiety was fully mediated by self-acceptance only in adolescent bo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acceptance needs to be considered as a means of decreasing social anxiety when designing programs and counselling for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