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 초기 성취목표가 도움요청행동 발달과 대학 학업참여 및 성취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The long-term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achievement goals on help-seeking behavior development and college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 개인저자
- 이현지
- 수록페이지
- 137-165 p.
- 발행일자
- 2017.11.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도움요청행동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 청소년 초기 성취목표가 도움요청행동 발달과 대학에서의 학업참여와 성취에 대해 가지는 예측력을 확인하고 그 관계에 있어서 도움요청행동 발달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중1 패널에서 2차년도(중2)부터 5차년도(고2), 7차년도(대1)까지의 설문에 응답한 3,686명을 대상으로 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도움요청행동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학교 2학년 때 가지는 청소년 초기의 성취목표가 이후 도움요청행동 발달 및 대학에서의 학업참여와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있어 도움요청행동 발달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도움요청행동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청소년 초기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도움요청행동의 초기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숙달접근목표는 도움요청행동의 변화율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숙달접근목표는 대학 수준에서의 학업성취도를, 숙달회피목표는 대학 수준에서의 학업참여도를 각각 직접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도움요청행동 초기치가 대학 학업참여와 성취 모두에 미치는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 각각의 긍정적인 영향을 매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도움요청행동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청소년 초기 성취목표가 도움요청행동 발달의 선행요인으로서 가지는 효과와, 도움요청행동을 통해 장기적으로 대학에서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것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growth patterns of adolescent help-seeking behavior. This was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achievement goals on the development of help-seeking behavior, and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in college,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help-seeking behavior. The subjects consisted of 3,686 students who responded to a 6-year long follow-up survey from the 2nd year to 5th year, and 7th year of the panel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Our results indicated that help-seeking behavior generally decreased each year and only mastery-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predicted the development of help-seeking behavior, which in turn predicted college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The predictive role of each achievement goal in academic outcomes and the adaptive functioning of help-seeking behavior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