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tress copying styles)
- 개인저자
- 조복순
- 수록페이지
- 225-253 p.
- 발행일자
- 2017.11.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 복지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3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3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애정적, 성취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인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취적, 비합리적일수록 부정적 대처방식인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대적, 성취-비성취적 양육태도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비성취적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 추구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애정-적대적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 추구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취-비성취적 양육태도와 정서완화적 대처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양육태도와 소망적 사고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들이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부모-자녀관계증진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고, 청소년들이 다양한 문제 상황에 노출되어도 스스로 극복하고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tress coping styl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36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data were processed by means of an SPSS 22.0 program, which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Ego-resilie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onate/ hostile and achieving/non-achieving parenting attitudes and the problem-based coping style. Ego-resili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onate/ hostile parenting attitudes and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coping style. Ego-resili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ing/non-achieving parenting attitudes and coping based on the emotional relief coping style.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good paren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development for children so that parents can acquire more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