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개인저자
김재엽
수록페이지
255-283 p.
발행일자
2017.11.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4개 권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1,91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성폭력 가해행동의 경우 응답범주가 대부분 0에 가깝게 나타나 정규분포의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8.1%가 지난 1년간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추행, 성희롱, 음란전화 등의 가해유형이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에 해당하며, 이들의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수준이 비중독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대상 성폭력 예방 교육의 개선,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의 의무화,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매체 접촉 차단 강화, 성폭력 가해 청소년 대상 상담 및 치료체계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The data was harves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four regions of South Korea. A total of 1,911 adolescents who responded that using a smartphone were utili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oiss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mediation methods were employ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is associated with sexual assault, and the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h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the spheres of both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