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개인저자
김현아
수록페이지
137-170 p.
발행일자
2012.08.26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그룹 홈 종사자 10명을 면접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관계 경험, 그룹 홈 운영의 어려움과 대처 전략, 종사자의 보람과 비전, 그룹 홈 운영에 대한 제안을 조사하였다. 부모와의 동반관계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탈북 청소년은 그룹 홈 종사자에게 마음을 열지 않았고, 생활 규칙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부모 역할을 담당하는 종사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점차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탈북 청소년 그룹 홈이 아동복지법의 인가를 받기 어려운 점과, 재정적 어려움, 업무과다의 어려움을 경험했지만, 청소년과 함께 지내는 기쁨과 탈북 청소년의 남한 적응, 그리고 통일과 사회 통합이라는 비전을 통해 소진을 극복하였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18세 이상의 탈북 청소년과 연고 청소년들도 그룹 홈에서 생활하는 것이 남한 적응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연고 탈북 청소년을 위한 그룹 홈 및 사회적 지지망 형성의 필요성과 그룹 홈 종사자가 탈북 청소년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였다. 논의에서는 탈북 청소년을 돕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기술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