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한국인 이민 1.5세대 청소년의 민족정체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저자
- 장인옥
- 수록페이지
- 59-84 p.
- 발행일자
- 2014.02.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소재 5개 중․고등학교 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심리욕구 및 희망과 학교적응 수준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희망과 학교적응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들보다 기본심리욕구, 희망과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기본심리욕구 및 희망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셋째, 희망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즉,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희망을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과의 관계를 희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하지만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과의 관계에서는 희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