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여자고등학생의 진로대안 잠재프로파일 분류

개인저자
하문선
수록페이지
129-154 p.
발행일자
2014.02.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고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을 구성하는 희망직업의 지위 상한선 점수, 지위 하한선 점수, 성역할유형 상한선 점수, 성역할유형 하한선 점수의 총 네 개의 점수를 이용하여 잠재 프로파일(Latent Profile)을 나누고 각 집단과 여성성역할, 학업성적, 사회경제적 지위, 진로결정수준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전체 분석 대상의 27.8%가 속해 있는 첫 번째 집단은 네 가지 진로대안의 구성 요소 중 직업지위는 평균보다 다소 낮고 좁은 범위를, 성역할유형은 평균을 기준으로 넓은 범위의 값을 가지고 있어 직업지위제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반면, 전체 분석 대상의 72.2%가 속해 있는 두 번째 집단은 네 가지 진로대안의 구성 요소 중 직업지위가 첫 번째 집단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가지며, 성역할유형은 보다 좁은 범위의 값을 가지고 있어 직업지위확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여자고등학생의 진로대안의 각 잠재집단과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간 사회경제적 지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여성성역할이 높을수록 직업지위 확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으며, 학업성적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을수록 직업지위제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여자고등학생의 여러 개인 및 사회환경적 특성이 진로대안 프로파일 분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청소년의 진로선택과 결정에 대한 연구를 보다 풍부하게 할 것이며, 진로상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