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패내성의 매개효과(The mediating effect of failure-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as perceived by adolescents)

개인저자
홍국진
수록페이지
125-143 p.
발행일자
2014.08.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나 또래, 교사에 의한 정서적ㆍ물질적ㆍ평가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과 더불어, 이 과정에서 청소년들의 실패내성 즉, 실패경험 그 자체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반응하는 경향성이 진로성숙도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며 또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매개해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명을 제외한 388명을 최종 자료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측정도구는 황윤경(1995)이 수정하여 사용한 ‘사회적 지지 지각척도’, 김아영(1994)이 개발한 ‘실패내성척도’, 이기학(1997)이 개발한 ‘진로성숙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둘째, 실패내성은 진로성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셋째, 실패내성은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를 의미있게 매개한다. 즉, 실패내성은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에서 겪는 많은 실패경험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ailure-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as perceived by adolescents. Our hypothesis was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adolescents,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Second, failure-tolerance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Third, failure-tolera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400 students of the second grade in a middle school in D cit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388 questionnaires, except for 12 questionnaires which produced unreliable answers, and were then subject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Baron and Kenny(1986)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career maturity, with more social support, as it is perceived adolescent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failure-tolerance showed a positive role in career maturity. This suggests that failure-tolerance has a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Third, failure-tolerance was reveale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were used to create suggestions and ideas for improving the career education of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