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 개인저자
- 김재엽
- 수록페이지
- 59-84 p.
- 발행일자
- 2015.11.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에 주목하여 기존의 청소년 자살에 관한 연구에서 초점을 맞췄던 가족과 학교문제를 통제변수로 하고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김재엽 교수 연구팀에서 실시한 ‘청소년의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는 2014년 11월부터 12월까지 약 4주간에 걸쳐 서울․경기 소재 중․고등학교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60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40.4%, 즉 10명 중 4명 정도의 청소년이 최근 1년간 자살생각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살생각 수준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24.5%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수준이었으며 성별로 구분하였을 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자기통제력은 부분매개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자기통제력을 거쳐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생각을 낮추고, 자기통제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connections between patterns of smartphone addiction that were likely to become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and to def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self-control. For this purpose, data were gathered though questionnaires surveying 1,601 adolescents living in the Seoul and Kyeonggi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martphone addiction has a direct influence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is mediated by self-control. This means that higher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student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dditionally, lower levels of self-control have a mediating effect within the path of smartphone addiction which affect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the importance of lessening smartphone-addiction and promoting self-control had been provided by this research.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