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중학생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개인저자
정제영
수록페이지
325-352 p.
발행일자
2016.05.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연구원의「경기교육종단연구(GEPS)」3차년도 중학교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비행 발생 가능성 및 비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학생의 비행을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으로 구분하고, 먼저 각 비행유형별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비행 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각 비행유형별로 비행 경험이 있는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비행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 모두 남학생일수록, 학생의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 내에서의 인권 침해 경험이 많을수록 비행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일탈비행 및 다중비행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공통요인은 학생의 높은 학업성취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행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일탈비행, 범법비행, 다중비행의 발생 빈도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은 부모의 이혼인 것으로 나타났고, 일탈비행과 다중비행의 경우에는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범법비행과 다중비행의 경우에는 가구 총 교육비가 높을수록 비행 발생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비행 발생 가능성과 비행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비행의 발생을 사전에 막는 예방 조치와 비행 학생에 대한 사후 교육지원 정책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일탈비행과 범법비행, 다중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비행유형별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3rd GEPS.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deviation misdemeanors, law-breaking delinquency and multiple delinquenci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type in order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Only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each type of delinquency were subject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depression and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t scho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a common factor tha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delinquency. Second, parental divor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requency of delinquency. The frequency of deviation misdemeanors and the occurrence of multiple delinquenci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