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adolescents’ career maturity)
- 개인저자
- 정미나
- 수록페이지
- 133-162 p.
- 발행일자
- 2016.08.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 진로, 가정, 학교, 친구관련 변인군 등으로 종합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학교급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5년 3월부터 2016년 1월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연구 212편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총 16개로, 평균 효과크기의 분석결과, 개인, 진로 및 학교, 친구, 가정관련 변인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태도성숙의 영향변인은 총 52개로, 진로, 개인, 사회적지지, 친구, 가정, 학교관련 변인군 순으로 평균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 셋째,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변인에 대한 학교급의 조절효과는 개인관련 변인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관련 변인 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지도 경험이, 학교관련 변인 중 학업성적과 교사애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대해서는 개인관련 변인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정서지능, 정서조절능력, 불안,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관련 변인 중 소명이, 가정관련 변인 중 부모애착, 부모 진로지지, 부모와의 분리개별화, 부의 긍정적 양육태도, 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학교관련 변인 중 교사애착이, 친구관련 변인 중 친구지지가 학교급별로 효과크기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성숙 및 진로태도성숙 향상을 위한 진로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variables (individual-related, career-related, family-related, school-related, peer-related) by carrying out meta-analysis on the effect sizes among variables.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121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March, 1995 and January, 2016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6 variables related with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 correlation of individual-related, career-related and school-related, peer-related, and family-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in order of the average effect size. Second,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clearly influenced by 52 variables,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identified in different order: career-related, individual-related, social support-related, peer-related, family-related,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ird, moderate effects according to school level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identified in multiple influencing variabl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