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불안 민감성과 부적 정서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anxiety sensitivity and the negative affect on worr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threat and anxiety control)

개인저자
전승범
수록페이지
31-58 p.
발행일자
2016.11.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불안 민감성과 부적 정서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위협과 불안 통제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걱정 수준과 불안 민감성, 부적 정서, 지각된 위협, 불안 통제감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불안 민감성과 부적 정서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위협과 불안 통제감이 완전 또는 부분 매개 하는지에 따라 네 가지 형태의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각각의 모형에 대해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을 수행하여 각 모형의 적합도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 모형들 중 가장 자료에 적합한 모형을 찾기 위해 연구 모형들 간의 χ2(df)차이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불안 민감성과 부적 정서가 지각된 위협과 불안 민감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걱정에 영향을 주는 간접 경로와 부적 정서가 걱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직접 경로를 포함한 모형이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불안 민감성과 걱정 증상과의 관계는 지각된 위협의 하위 요인인 가능성 평가와 불안 통제감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적 정서와 걱정 증상 간의 관계는 지각된 위협의 하위 요인인 가능성 평가와 대가 평가 그리고 불안 통제감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how worry occurs and is maintained.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threat (;PT consists of probability estimates and cost estimates) and anxiety control in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related variables (i.e., anxiety sensitivity, negative affect) and worry.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using data from 294 university students was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sensitivity and worry was fully mediated by probability estimates and anxiety control. Moreover,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worry was partially mediated by probability estimates, cost estimates, and anxiety control.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