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고등학생 무단결석 발생과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비교(Compa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and frequency of truancy amongst high school students)
- 개인저자
- 이휘인
- 수록페이지
- 201-229 p.
- 발행일자
- 2016.11.28
- 출판사
-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아동패널」 5차 자료를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무단결석 가능성과 무단결석 횟수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가산자료(count data)이며 0의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점을 고려하여 영과잉 모델(zero inflation)을 이용하였다. 영과잉 모델의 다양한 방법들 즉, 포아송 영과잉, 음이항 영과잉, 포아송 허들, 음이항 허들 모형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무단결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분석 방법에 따라서 달랐다. 모형의 적합성을 비교하여 영과잉 음이항모형과 음이항 허들모형을 선택하였다. 분석결과, 무단결석 횟수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지난학년의 무단결석유무, 어머니의 학력, 대도시 거주여부, 무단결석을 한 친구 유무에 영향을 받았다. 무단결석에 대한 결정요인은 모형별로 달랐다. 영과잉 음이항 모형은 지난학년 무단결석, 성별, 부모 학력, 부모폭력성, 무단결석 친구 유무, 교사와의 관계, 학습활동이다. 허들 음이항모형은 지난학년 무단결석, 성별, 남녀공학, 부모폭력성, 무단결석 친구 유무, 교사와의 관계, 학습활동이다. 이를 통하여 무단결석을 예방(prevention)하는 프로그램과 상습적 무단결석 학생에 대한 교육지원(intervention) 프로그램에 대해서 체계적인 운영과 무단결석 방지에 학생에 대한 관심과 실질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자료의 특성에 부합하는 분석방법의 선택에 대해서도 강조하는 바이다.
This study evalu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ssi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ruancy and the frequency of truancy by using data from the ‘KCYPS’ 5th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zero inflation model was used because the excess of data was zero and was countable. Various methods of a zero inflation model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nd these methods included ZIP Poisson, ZIP negative binomial, hurdle Poisson, and hurdle negative binomial models. Their results were compared as well.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and occurrence of truancy were similar amongst the different analysis methods employ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some variables varied by analytical methods. Moreover, these four zero inflation models suggested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 variables which could help predict the possibility and frequency of truan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program for preventing truancy an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tudents habitually engaging in truancy should be operated separately and systematically. Furthermore, the results implied that practical support structures were necessary to any program designed to prevent truancy. Additionally, when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zero inflation model, the significant variables should be reconsidered by comparison with other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