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부모의 감독과 과잉간섭이 아동·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변화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intrusiveness 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 seven-wav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개인저자
김경민
수록페이지
7-32 p.
발행일자
2018.02.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 부모의 감독과 과잉간섭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데이터 중에서 초4부터 고1까지 7년에 걸쳐 수집된 자료(총 2,378명)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고, 변화궤적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이후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그 수준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에서의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부모의 감독과 과잉간섭은 휴대전화 의존의 초기치뿐만 아니라 변화율과 이차항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자신의 일상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자녀가 인식한 경우에는 휴대전화 의존도가 낮았고,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휴대전화 의존도 증가폭은 크지만 변화 속도는 점차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가 자신의 일상생활에 지나치게 관여하고 활동을 통제한다고 인식한 경우에는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았고,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휴대전화 의존도의 증가폭은 작지만 변화 속도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단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아동·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아동·청소년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올바른 휴대전화 사용 지도를 위한 부모의 역할을 제시하여, 이는 향후 자녀의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부모 교육에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jectories of the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by adolescent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intrusiveness on their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Data harvest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The data from 2,378 students in the period between their 4th and 10th grades were analyzed. We utilized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for the purposes of ou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vels of 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increased steadily from the 4th to the 7th grade. Significant covariates were found on the slope and quadratic parameters. Second, parental monitoring and intrusiveness significantly predicts adolescents’ initial levels of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intercepts), their rates of increase in levels of what evolves into a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slope) as well as quadratic parameter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notion that effective parent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venting the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by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