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변화연구(A longitudinal study of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a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

개인저자
이정민
수록페이지
35-67 p.
발행일자
2018.02.28
출판사
한국청소년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팬덤활동 참여와 개인, 가정, 지역사회 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4패널 4차∼7차년도(2013년∼2016년) 4개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선,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기대되는 배경변인과 개인 요인의 변인들을 공변인으로 투입한 경향점수 매칭방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팬덤활동 참여집단(처치집단)과 미참여집단(통제집단) 간 동등성을 확보하였다. 동등성이 확보된 자료를 사용하여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변화의 개인차를 탐색하기 위하여 다층성장모형(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팬덤활동 참여집단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의 초기치가 낮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팬덤활동 미참여집단보다 더 높은 학교생활적응의 성장을 나타냈다. 즉,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팬덤활동에 참여하면서 부모의 과잉간섭이 높은 학생은 학교생활적응 변화에서는 초기치가 더 높았다. 이와 더불어 자아존중감, 휴대전화의존도, 부모의 애정, 부모의 과잉간섭, 공동체의식은 학교생활적응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후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휴대전화의존도, 공동체의식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긍정적 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음에 관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as well as personal,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on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To achieve these aims, th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from 4th to 7th(2013∼2016) was used. To eliminate selection biases, propensity scores matching between the participation (treated) group and non-participation (control) group, was conducted and 656 cases in each group were finally matched. Following this matching,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 As a result,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y was shown to have low initial value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However, as time went by,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y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a higher growth than non-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