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청소년의 정서적 지지망과 자살생각(Emotional Support Network and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olescents: Exploring Gender Effects and Moderating Factors)

개인저자
김경미
수록페이지
53-77 p.
발행일자
2018.03.30
출판사
한국인구학회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적 지지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영향을 조절하는변인을 살펴보았다.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2016년 실시한 전국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 성별 집단으로 구분해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서적 지지망은 유형에 따라 다소 상이한 효과를 나타냈다. 정서적 지지망이 “어머니”인 경우 성별에 관계없이 자살생각을 감소시켰으며, “아버지” 유형은 남학생 집단에서, “친구” 유형은 여학생 집단에서만자살생각을 감소시켰다. 약한 연계인 “기타” 유형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한편, 정서적 지지망의 부재는 성별에 관계없이 자살생각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지지망 부재의 영향을 조절하는 변인 분석에서는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수면부족 무경험 변인이 지지망 부재의 영향을 조절했으며, 여학생은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그 효과를 조절했다. 달리 표현하면, 남학생은 수면부족을 경험하지 않는 경우, 여학생은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3시간 미만일 때 정서적 지지망의 부재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했다. 본 연구는 정서적 지지망의 유형별 효과를 성별 집단으로 구분해 분석하고, 지지망에서 배제된 청소년층에 대한관심을 강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emotional support network influences Korea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a national scale survey conducted by Yonsei Univ. in 2016. A gender-based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leep and smart phone usage variables were examin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ome types of the support network appeared to reduce suicidal ideation. The type “mother” appeared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but the type “father” only in male. The type “others” which represents a weak tie, did not show any impact on both groups. Also, the lack of emotional support network appeared to increase suicidal ide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troducing the moderating factors for the absence of the network, however, a different result was produced according to different gender groups.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the variable of sleep experience appeared to moderate such effect, while smart phone usage time did the same for the female. When male adolescents did not experience sleep deficit, and female adolescents’use of smart phone was less than three hours a day, the negative effects of the network absence decrea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how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network, and to emphasize attention to adolescents without such a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