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재산상속대상 결정요인 분석: 순차로짓모형을 통한 추정

개인저자
황선재
수록페이지
81-108 p.
발행일자
2014.03.31
출판사
한국인구학회
초록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 65세 이상 노인들이 재산상속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는 상속대상과 이들을 재산상속대상으로 결정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2011년 전국노인실태조사의 “재산 처리방식으로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설문문항에 대한 노인들의 응답을 기초로 재산상속대상을 크게 자녀, 본인/배우자, 그리고 사회로 재분류한 뒤, 순차로짓모형(sequential logit model)을 통해 재산상속대상의 결정과정과 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노인들은 전통적인 아들중심상속(24.82%)보다 자녀균분상속(51.03%) 의도를 보이고 있으나, 노인들의 개인적인 특성(사회경제적 지위, 인구학적·건강상태, 세대관계특성 변수)에 따라 재산의 사회환원, 본인/배우자를 위한 사용, 그리고 자녀상속의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가 상정하고 있는 재산상속대상 선정의 의사결정단계에 따라 동일한 변수도 그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들의 상속대상 결정과정 및 결정요인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방법론적 시도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며, 전통적인 재산상속방식이 해체되고 상속대상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