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적응 기제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 노인의 성별 차이
- 개인저자
- 조윤주
- 수록페이지
- 21-48 p.
- 발행일자
- 2014.06.30
- 출판사
- 한국인구학회
초록
본 연구는 60세 이상의 남녀 자원봉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봉사 활동에 대한 적응 기제가 이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면접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령자의 귀인 양식 중 내적 귀인과 일차 전략 및 이차 전략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삶의 만족도는 중간 이상이었다. 반면 외적 귀인은 중간 점수에 다소 못 미쳤으며 타인 지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차가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더 높았다. 둘째, 남녀 모두 내적 귀인, 일차 전략과 이차 전략은 삶의 만족도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남성 노인은 일차 전략을 많이 이용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여성 노인은 주관적인 경제 상태가 양호할수록, 내적 귀인의 성향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고령이지만 본인의 책임과 통제력을 중시하는 내적 귀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일차 전략과 같은 대처 전략을 처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사함으로써 노년기 삶에도 적응 기제가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자원봉사 시 활용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general tendencies of adjustment mechanism such as attribution style and coping strategy, life satisfaction to analyze the variables which give effects to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ajor results were firstly, senior citizen’s internal attribution, primary control, and secondary control showed high score. Life satisfaction were the average score. But external attribution were somewhat low. Secondly, the correlation of internal attribution, primary control, and secondary control were the same results in a regard positive relations. Final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variables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were primary strategy for male group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internal attribution for female group. Based on this results, it was reminded the importance of internal attribution. And it suggested the flexibility of coping strategy such as primary strategy could be adjustment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