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A Comparative Study on Female Labor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An Extended Age-Period-Cohort(APC) Analysis
- 개인저자
- Nobutane Hanayama
- 수록페이지
- 91-112 p.
- 발행일자
- 2014.06.30
- 출판사
- 한국인구학회
초록
Women’s work force participation rates are alarming when addressing the lack of labor force due to an aging society with a low fertility rate of Korea. Albeit time difference, Japan has also been interested in women's labor participation under a similar socio-economic situations(such as an increased rate of elder population and exceptionally low fertility rate). And thus it is inevitable and urgent to find out factors to improve the labor market conditions on behalf of female labor forc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imed at projecting the effects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surrounding South Korean and Japanese females, but using an extended age-period-cohort model. The study found that suggested is fitted to the data o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given by age and period in South Korea and Japan. The study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females after 1980 indicate almost the same increasing trend for both countries. Additionally, suggestions are made for labor policy policies in regard with the female labor forces.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향후 예상되는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해 여성의 노동시장의 참여가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일본의 경우 우리보다 시간적으로 앞서기는 하지만 유사한 시대적 상황에서 여성의 고용시장의 환경 개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여성고용에 대한 환경적인 변화 요인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확장 연령-시기 코홀트 모형(an extended age-period-cohort model)을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의 연령과 시기에 따른 여성의 노동참여율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제시된 모형이 경험적인 자료와 적합함이 입증되었다. 아울러 1980년대 이후 여성고용이 두 나라에서 유사하게 증가하게 된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여성노동시장의 환경적 개선에 관해서 정책적 제언을 고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