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에 관한 연구(Family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 Focus on the Phenomenon of Chain Migrations)
- 개인저자
- 손명아
- 수록페이지
- 57-81 p.
- 발행일자
- 2017.03.30
- 출판사
- 한국인구학회
초록
본 연구는 이주사회학적 관점, 특히 가족이주의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북한 탈출과 남한에서의 적응 및 정착을 분석한다.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주는 어떤 맥락에서 발생하는지, 그 과정과 양상은 어떠한지, 남한사회 정착 및 적응은 개인 단위로 온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심층면접을 통해 알아보았다. 특히 가족이주를 발생‧지속‧확장시키는 기제로서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연쇄이주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탈북의 구조와 행위자의 실천을 관찰함으로써 탈북 현상과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가족은 탈북 전후부터 남한 정착에 이르는 이주의 전 과정에서 사회적 자본 역할을 한다. 먼저 입국한 이주자와 북한에 있는 가족 사이에 형성된 연결망은 탈북을 결정하고 준비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가족은 교신과 송금을 통해서 초국적 가족유대를 형성하고, 가족 연결망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연쇄이주는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국제이주와 달리 북한사회의 감시와 통제라는 특수한 조건으로 인하여 가족의 연쇄이주는 이주자의 자율적 행위성을 제한하는 측면도 존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mily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immigration.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10 North Korean defectors. We deal with the context of migration decision making, the migration process and aspects of settlement and assimilation in South Korea. Especially, we focus on chain migration as a mechanism for the occurrenc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family migration. By analyzing the process of escaping North Korea and their practi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broaden the perspectives of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s. Family plays a role as social capital throughout the migration process, from the time before and after escaping from North Korea to settlement in South Korea. A family network between the family member in North Korea and the initiative migrant in South Korea is built. This relationship creates strong family bonds and causes additional migration through continuous connection and remittance. The chain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has durability and expandability by utilizing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