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혼전임신 출산의 추세, 2001~2015(The Trends of Premarital Conception and Shotgun Marriage in South Korea, 2001~2015)

개인저자
이병호
수록페이지
107-129 p.
발행일자
2017.09.30
출판사
한국인구학회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혼전임신에 따른 첫아이 출생동향을 2001년부터 2015년까지 통계청「인구동태조사」 출생 자료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시기별, 지역별, 연령별, 출생코호트별, 학력수준별 혼전임신 출산의 경향을 고찰함으로써 임신 이후 결혼 즉 속도위반 결혼 여부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한다. 현재 혼전임신으로 인한 속도위반 결혼건수는 매년 3만 7천여 건으로 추산되며, 이는 2000년대 초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첫아이 출산에서 결혼으로 이어진 혼전임신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대 중반부터 급증하여 2010년부터 18% 내외를 점하고 있다. 한편 혼전임신에 의한 초산 확률은 대체로 평균 초혼연령에 비해 일찍 결혼한 경우에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현재 그리고 장래 초산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할 밀레니얼 세대는 연령과 학력의 효과를 통제하더라도 이전 세대에 비해 혼전임신으로 인한 생애 첫 출산을 경험할 확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제1아의 약 20%가 임신 후 결혼으로 태어나는 상황은 결혼과 첫 출산의 간격을 좁힐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결혼에 관한 관습적인 규범도 급속도로 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women who have experienced premarital pregnancy by analyzing the official vital statistics from 2001 to 2015. The estimated annual number of shotgun marriages in recent years is over 37 thousand, which is twice more than that of the early 2000s. The proportion of premaritally conceived first births has also increased over the last 15 years as it has currently reached around 18 per cent since 2010. I also employ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measure the effects of not only age, period, cohort but also spatial location, all of which influence the likelihood of shotgun marriages. In sum, nearly one out of five first births is conceived before marriage, which is conducive to shortening the birth interval and alludes to a rapid change in the conventional norms of marr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