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독일식 사회보장제도 통합은 가능한가(Is It Possible to Achieve a German Way of Social Security Integ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vestigation of Unification Environment and Policy Measures) | 노용환 | 5-32 | 2016.06.30 | - | |
통일 독일의 사례를 통해 본 남북한 주요 건강지표의 현황과 전망(Major Health Indicators in South and North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West and East Germany) | 조경숙 | 33-56 | 2016.06.30 | - | |
노령층 소득배분의 적절성 탐색을 위한 국제비교(A Comparative Study on the Adequacy of Income Distribution for the Aged in OECD Countries) | 석재은 | 57-89 | 2016.06.30 | - | |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이웃관계,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Aware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Neighborhood Relationships, Physical and Mental Health Effects on Concerns about Aging: Korean and Japanese Cases) | 모지환 | 90-120 | 2016.06.30 | - | |
노인의 계층인식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이중매개효과(The Effect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n Suicidal Ideation in Older Koreans) | 남석인 | 121-150 | 2016.06.30 | - | |
다발성경화증 환자 배우자의 돌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Experience of Spousal Carers of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 이인정 | 151-191 | 2016.06.30 | - | |
은퇴전환기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인식 유형화 연구(A Qualitative Study of the Types of Leisure Perceptions among Middle-aged Men in Retirement Transition) | 김현정 | 192-226 | 2016.06.30 | - | |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Job Retention in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 이병화 | 227-257 | 2016.06.30 | - | |
감각자극 기반 표현예술치료가 독거 재가 장애인의 우울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Based Expressive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Disabled Living Alone at Home) | 이선형 | 258-279 | 2016.06.30 | - | |
비수급 빈곤층의 생존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A Grounded Theory of Non-take-up Group's Life Process) | 이정기 | 280-310 | 2016.06.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