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 인정자의 최초 재가급여 선택과 유지 및 이탈에 대한 영향요인(Analysis on the Staying at-Home of the Qualified Recipients of Long-Term Care for Aging in Place) | 석재은 | 5-42 | 2017.12.30 | - | |
노인요양시설 인력의 문화변화 역량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Effectiveness of Cultural Change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Home Staff) | 이민홍 | 43-70 | 2017.12.30 | - | |
장기요양시설 평가제도의 변화가 평가등급과 운영의 변동을 가져왔는가?(How the Change in the Evaluation Policy Affects the Grade, Closure, and Reinstall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 유재언 | 71-97 | 2017.12.30 | - | |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의 타당도 및 측정불변성 검증(Testing Reliabil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K-ADL) | 박수지 | 98-124 | 2017.12.30 | - | |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in the Elderly: Focusing on Nutrient Intake) | 김민지 | 125-145 | 2017.12.30 | - | |
한국인의 건강불안정성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Precarious Health in South Korea) | 배그린 | 146-178 | 2017.12.30 | - | |
우리나라 결핵 실태 및 국가 결핵관리 현황(Tuberculosis Control in the Republic of Korea) | 조경숙 | 179-212 | 2017.12.30 | - | |
한국 자살 위험의 지역적 격차와 그 시공간적 고착 구조에 관한 연구(The Regional Gap of Suicide Risk and the Spatio-Temporally Persistence Structures in South Korea) | 노법래 | 213-237 | 2017.12.30 | - | |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Body Image Distortion on Depression in Youth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 맹성준 | 238-268 | 2017.12.30 | - | |
한국남성의 흡연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Smoking Patterns of Korean Male Smokers over 9 Years) | 박현용 | 269-293 | 2017.12.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