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개인저자
윤해옥
수록페이지
1-27 p.
발행일자
2016.03.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부터 4차까지 4개년도의 종단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네 시점에 걸쳐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교차지연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만족도와 부부갈등은 상보적 인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은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상호 영향력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ur waves(2008-2011) of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First, it was found from the data of the four waves that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in the total four waves data. Seco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n the prior job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the lat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significantly as well 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predicted the later job satisfaction. However, a reciprocal-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In addition, prior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ater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martial conflic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longitudinal analysis of dynamic causation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