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아교사의 직업환경적 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개인저자
- 오옥선
- 수록페이지
- 103-125 p.
- 발행일자
- 2014.11.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업환경적 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직업환경적 요인-교사 효능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하였고 근무형태가 긍정적일수록,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은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차원 중 원아들과의 활동스트레스는 급여수준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업무관련 스트레스는 근무형태-교사효능감, 급여수준-교사효능감의 관계를, 행정지원 스트레스는 근무시간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었다. 또한 근무시간은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매개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효능감의 선행요인으로 직업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음은 물론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세분화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 하위차원 각각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련의 결과들은 후속연구 및 유아교사의 효능감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의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occupational stress was lower for teachers with longer work hours while, teacher efficacy increased as level of benefits increased. Second, infant activities mediated the level of benefit and relations with teacher efficacy, task-related stress mediated work patterns and teacher efficacy relation, level of benefit and efficacy relation. Administrative support stress mediated the effects of work hours on teacher efficacy. There is also a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stress in relation to work hours and teacher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stress sub-dimensions. The research might form the basis of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teacher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