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어머니가 인식한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저자
김정주
수록페이지
67-87 p.
발행일자
2015.07.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가 인식한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봄으로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관련된 가족 내 건강성의 잠재적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129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가족건강성과 양육효능감은 어머니를 통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은 담임교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유대의식’, ‘가치관, 목표 공유’ 및 ‘문제해결 수행능력’에 대한 가족건강성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유대의식’과 ‘가치관, 목표 공유’가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 간의 유대의식을 강화하고 가치관 및 목표를 공유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을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노력과 다양한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how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mothers affects their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ir young children's resilience, and ultimately to examine the potential characteristics of family strength related to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ir young children's resilience. For this study, 129 young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 City and their mothers were sampled as the subjects of research,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others about family strength and parenting self-efficacy, and from class teachers about the children's resil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amily strength in "sense of solidarity", "value and goal shar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had an effect o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 strength in "sense of solidarity" and "value and goal sharing" had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Accordingly, an enhanced sense of solidarity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sharing of values and goals are expected to bring positive changes to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ir young children's 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 for efforts and support at diverse levels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