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 개발 연구(A Developmental Study on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개인저자
윤혜원
수록페이지
85-119 p.
발행일자
2016.09.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실제 갈등상황을 그림으로 구성하여 교사들이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를 개발한 것이다. 어린이들은 이 그림자료를 가지고 토의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어린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정보도 얻을 수 있어 간접교육으로서 인성교육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학자들의 관점, 교육과학기술부, 그리고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 인성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법을 살펴보며,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 개발의 기준을 유출하였다. 이 기준에 의거하여 일상생활의 갈등상황을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10가지 주제를 정하고 천연색 그림자료 20가지를 프로그램 개발의 순서에 따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는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연계되도록 구성한 천연색의 자료이므로 교사가 재구성하지 않고도 있는 그대로 인성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는 만 4~5세 어린이들이 가상적 갈등상황의 짧은 스토리를 듣고 개방적 질문을 함으로써 이야기나누기나 토의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셋째,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를 가지고 토의하는 동안에 어린이는 스토리를 듣고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경청하기 및 자기 입장, 기분, 느낌을 말로 표현함으로서 융합적 접근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토의하는 과정에서 갈등상황의 전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This study is developed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which are configured to resemble picture materials for actual conflict situations that teachers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Children are able to express and discuss their feelings using this pictorial data. The information that can also be obtained through the children's problem­solving interactions can help achieve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as an indirect training. In this study,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reviewed from researchers, other scholars view poi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aged 3-5 years Nuri Curriculum. And then the basis of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 conflict situations were drawn by the researcher. Twenty multi-colored materials of indirect experiences based on the conflict situation of everyday life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the order of program development with 10 life topics of aged 3-5 years Nuri Curriculum. The developed material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because the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were configu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outflow from Nuri life topics, the cours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discussions without having to reconfigure the teacher. Second, the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contains open-ended questions that can lead feature discussions could well happen by only children aged 4-5 years. That means children hear a short story of the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can had discussions. Third, children can listen to stories with data from others to listen and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person's position and self-admission can be used for integrated approaches, and also verbalize their feelings while discussing with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And there are features that allow children to form strategies in conflict situations in the course of discu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