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화엄경』 「입법계품」의 5세 누리과정과의 연계성 및 내용 분석(Area-Specific Connectivity and Content Analysis of the Five-Year-Old Nuri Curriculum of "Gandavyuha-Sutra" in "Avatamsaka-Sutra")

개인저자
정도진
수록페이지
1-32 p.
발행일자
2017.1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화엄경』 「입법계품」의 선지식을 대상으로 5세 누리과정의 영역별 연계성 및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재동자가 구도여행을 통해 깨달은 36선지식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36선지식에 대한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세부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입법계품」의 36선지식은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영역에서 10개의 내용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의사소통 영역은 6개, 사회관계 영역은 8개, 예술경험 영역은 6개, 그리고 자연탐구 영역에서는 7개의 내용요소가 적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36선지식은 5세 누리과정 5개 영역의 총 62개 내용요소 중 37개의 내용과 연계성이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는 누리과정의 59.7% 범위에서 유아교육 현장 적용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rea-specific connectivity and the contents of five-year-old Nuri curriculum in Kalyana-mitra of "Gandavyuha-Sutra" in "Avatamsaka-Sutr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contents of 36 Kalyana-mitra that Sudhana realized through Zen-seeking travel, and the subject that can be applied to child education field was derived. Based on this, this study analyzed area-specific connectivity and the contents of Nuri Curriculum to 36 Kalyana-mitra, and obtained details. As a result of the study, 36 Kalyana-mitra of Gandavyuha-Sutra were analyzed to be applicable to 10 contents in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field of Nuri Curriculum. We found that six content elements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eight in the area of social relation, six in the area of artistic experience, and seven in the area of nature inquiry are applicable. As a result, 36 Kalyana-mitra were associated with 37 of the 62 content elements of the five domains of the five-year-old Nuri curriculum, which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hild education field in the range of 59.7% of the Nuri curriculum as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