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어머니의 정서신념이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Mothers' Beliefs about Emotion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 Mediational Effect of Materna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개인저자
하지영
수록페이지
61-86 p.
발행일자
2017.11.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신념이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정서조절 방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213명과 그 어머니였으며, 어머니의 정서신념과 정서조절 방략,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관한 설문지를 어머니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여아가 남아에 비해 적응적 정서조절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긍정적 정서에 대한 가치 신념이 높을수록, 정서는 위험하다는 신념이 낮을수록, 인지적 재해석 정서조절 방략을 사용할수록, 정서표현 억제 방략을 덜 사용할수록 유아가 적응적 정서조절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가치 신념이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인지적 재해석 정서조절 방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조절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신념과 정서조절 방략의 복합적인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써 유아의 정서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지침이 되는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s of materna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 of mother's beliefs about emotion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were 213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attended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Kyunggi Province and Daejeon, South Korea. Mothers' beliefs about emo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ere assessed by the mot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irls' emotion regul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boys'. Second, mothers' beliefs that positive emotions are valuable, and that emotions are not dangerous and materna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ike high cognitive reappraisal and low expressive suppression were related to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rd, the effects of mothers' beliefs about the value of positive emotion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maternal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ies. In line with those finding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