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유아 자기인식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cognition Test Tool for Young Children)

개인저자
권은주
수록페이지
1-31 p.
발행일자
2018.05.01
출판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자기인식 검사도구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10인의 전문가에 의한 델파이조사를 통해 문항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유아 자기인식 검사도구는 유아 320명을 대상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구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확정된 「유아 자기인식 검사도구」는 Cronbach's α 계수 0.83으로 신뢰도 높은 척도이며, ‘외적 자기인식’, ‘내적 자기인식’, ‘사회적 자기인식’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총 16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최종 검사도구의 요인구조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부합지수가 모두 높게 나와 내용타당도 및 구성타당도가 높으며, 단일차원성이 좋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용 자기인식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검사도구임을 입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recognition test tool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a Delphi survey by 10 expert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an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Also,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lf-recognition test tool in this study was verified by obtain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From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of 'external self-recognition', 'internal self-recognition' and 'social self-recognition'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the validity 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recognition total and sub‐factors. As a result, the self-recognition test tool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s to be a test tool with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